2023.03.11 - [교육 일기/[SeSAC]유니콘 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IT 서비스 기획자 취업 캠프] -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프로덕트 설계 1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프로덕트 설계 1
23.01.02 ~ 23.01.04이번 현직자 강의는 프로덕트 설계다. 프로덕트 설계는 다음과 같이 진행됐다. 개요프로덕트 설계서비스 기획프로토타이핑/UTPO의 기타 업무PO가 전반적으로 맡게 되는 업무의 흐
chocomochi-record.tistory.com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프로덕트 설계 2'의 다음 이야기다.
실습 과제로 "카카오 모빌리티(택시)에 카풀(합승) 기능이 추가된다면 어떻게 서비스를 기획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진행을 했다.
1. 사전 조사
우리가 가장 먼저 생각을 한 것은 카풀이 어떤 구조로 진행이 되고,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를 생각했다.
카풀은 차랑 공유, 승차 공유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비슷한 방향으로 가는 사람끼리 같은 승용차나 버스 등을 타고 가는 행위이다.
카풀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서로의 목적지가 최소 70% 정도 일치해야 한다. (목적지 방향이 비슷함)
- 출발지는 걸어서 or 자동차가 빠르게 만날 수 있는 1km 이내의 장소야 한다.
카풀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1. 싼 값으로 이용할 수 있음 (절약) 2. 혼잡한 지하철이나 버스와 달리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음 |
1.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도착지, 거주지, 연락처 등) 2. 이성간의 범죄 3. 타인과 동승한다는 위험 |
[트렌드모니터] 택시 요금 인상, 택시 이용을 더 주저하게 하고 있어 - 매드타임스(MADTimes)
[ 매드타임스 채성숙 기자] 긴급하게 이동해야 할 일이 있거나 대중교통 운영이 끊겼을 때, 더 편안하게 이동하고 싶을 때 많은 사람들이 택시를 찾게 된다. 택시 호출 서비스가 일반화되며 승객
www.madtimes.org
2. 카카오 모빌리티(택시)에서의 카풀 기능 기획
카풀에 대한 조사를 끝내고 실제 카카오 모빌리티의 기획자라는 마인드로 카풀 기능을 추가하는 기획을 진행했다.
기본 조건: 카카오 택시에 카풀 기능이 추가
- 택시를 이용하는 사람은 왜 택시를 이용할까?
- 택시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 택시와 카풀을 연결할 시, 어떤 효과가 있을까?
- 카카오 T에서 어떻게 기능을 추가할까?
2-1. 택시를 이용하는 사람은 왜 택시를 이용할까?
- 버스나 지하철과 달리, 쾌적한 이동을 원해서
- 피곤하거나 힘들 때
- 음주를 한 상태일 때
- 다른 교통수단이 없을 때 (차가 끊긴 상황)
- 빠른 이동을 원해서
- 일정이 긴박하거나 급할 때
- 약속, 출근 등에 늦었을 때
- 시간 절약이 필요할 때
2-2. 택시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장점 | 단점 |
1. 시간과 장소 없이 이용할 수 있다 2. 쾌적한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다 3. 타 교통수단과 달리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4.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5. 택시 호출 서비스로 인해서 택시를 편하게 잡을 수 있다 |
1. 택시 요금의 인상률이 높다 2. 택시 호출 서비스로 인해 택시 잡기가 전보다 수월하지만 여전히 특정 시간대나 장소에서 잡기 어렵다 |
2-3. 택시와 카풀을 연결할 시, 어떤 효과가 있을까?
택시와 카풀의 장단점을 조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실제 트렌드 모니터에서 조사한 택시와 카풀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대부분의 유저가 택시 요금 인상에 대한 금전적 부담감 때문에 택시 이용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카풀 서비스가 생긴다면 긍정적으로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럼 택시와 카풀을 연결하게 된다면, 생길 효과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기사 입장
택시를 이용하는 유저가 증가하게 되어서 새로운 고객을 만들 수 있다
고객 입장
타 서비스와 달리 택시 기사라는 신변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위험도 감소
낮은 가격으로 택시 이용 가능
기본 택시와 달리, 빠른 탑승 가능
기업 입장
유저의 니즈를 만족시키므로 긍정적 브랜드 이미지 형성
2-4. 카카오 T에서 어떻게 기능을 추가할까?
카카오 T에서 카풀을 추가한다면 후보로 블루와 벤티가 나왔다.
블루와 벤티가 후보로 나온 것은 빠른 탑승과 쾌적함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카풀을 진행한다 하여도 기존 일반 택시와 같이 늦게 잡히게 된다면, 카풀을 이용할 필요도 없을 것이고 쾌적함을 제공을 하지 않으면 결국 카풀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블루와 벤티 중 무엇을 1차 테스트로 정하는 것이 맞을까라는 고민을 진행했다.
우리가 직접 카풀을 이용하는 고객이 되어서 스토리를 진행해 봤다.
- 택시가 잘 잡히지 않는 장소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 강남, 홍대 등)
- 택시가 잘 잡히지 않는 시간대
- 택시 요금이 비싼 시간대 (야간 할증)
- 목적지가 멀어 높은 요금이 나오는 상황
이런 상황일 때, 카풀을 이용할 것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현재 블루와 벤티의 상황을 비교하니 블루의 경우 일반 택시보다 추가 요금을 내고 탑승을 하지만 특정 시간대,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에서는 일반 택시와 다름없이 탑승하기 어려운 점, 택시의 사이즈는 일반 택시와 큰 차이가 없는 점이 있었다.
벤티의 경우 블루보다 요금은 더 지불하지만, 승합차 사이즈이므로 확실한 쾌적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고 기본요금대가 높기 때문에 특정 장소, 특정 시간대에도 택시가 잡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적인 측면에서도 고려를 해봤다. 결국 기업 입장에서는 수익도 놓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였는데 블루에게 카풀을 이용하면 기사와 기업에게 들어오는 수익이 적기 때문에 기사들이 선호하지 않을 의향이 있을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만약 벤티의 경우에는 이용하는 고객도 일반 택시와 블루보다 현재 적고, 카풀을 이용해서 한다 해도 수익이 적어지지는 않고 이용하는 고객이 늘어나서 안정화가 될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모든 부분을 고려한 결과 벤티에 카풀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결정이 됐다.
3. 실습과 내 생각
프러덕트 백로그와 프로토타입을 구상하면서 실제 일어날 상황들을 미리 구상하여 대비할 수 있었다.
고객들은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생각 이상으로 거부감이 있고, 기존 서비스가 개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였을 때 어디에 그 공지를 노출하는지가 매우 중요한 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획 경험이 적을수록 고객의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고객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도 생각해야 하는 사실을 알게 된 실습이었다.
고객에게 부정적 감정을 제공하지 않고 수익을 낼 수 있는지를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출처
[새싹X러닝스푼즈] 유니콘 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IT 서비스 기획자 취업 캠프 프로덕트 설계
https://sesac.seoul.kr/course/active/detail.do
'교육 일기 > [SeSAC]유니콘 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IT 서비스 기획자 취업 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프로토타입 2 (0) | 2023.03.28 |
---|---|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프로토타입 1 (2) | 2023.03.28 |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프로덕트 설계 1 (0) | 2023.03.11 |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애자일 캠프 (0) | 2023.03.08 |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셋/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5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