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M, PO, 서비스기획자란 무엇인가?
1. PM(Product Manager)
PM이란 제품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담당하고 관리하며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 마케팅 계획 수립과 집행, 예산 집행, 각종 프로그램 집행, 심포지엄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중요한 일을 결정한다. 권한이 큰 만큼 판매 실적 부진에 따른 책임과 부담도 매우 크다.
[네이버 지식백과] PM (매일경제, 매경닷컴)
PM의 업무
- 제품 론칭
- 시장조사, 분석
- 전략기획
- 제품 관련 이해관계자별 니즈 파악 및 문제 정의
- 요구사항 정의부터 개발까지 개발과정 전반에 걸친 품질관리
PM의 요구 역량
- 분석 및 문제 정의, 솔루션 도출 능력
- 데이터 중심 의사결정
- 소통과 협력
- 사업가치 창출, 고객중심 사고
- 애자일 프로세스와 같은 실무 경험
2. PO(Product Owner)
PO란 프로덕트의 주인이다. 메이커(개발자&디자이너)와 한 팀을 이뤄,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해당 프로덕트를 계획 고도화해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필요한 수많은 과제 중 해당 프로덕트의 주인으로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PO는 누군가의 요구사항을 받아서 단순히 우선순위만 매기는 것이 아니라 프로덕트에 대한 요구사항을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전반의 과정을 조율하여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PO의 업무
- 비전 정의 → Product 로드맵 생성
- Product 백로그 관리
- 요구사항에 대해서 우선순위 수립
- 개발 단계 감독
- 고객의 요구사항 파악/예측
- 주요 의사소통자 역할
- 제품 진행 사항 평가/판단
PO의 요구 역량
- 분석 및 문제 정의, 솔루션 도출 능력
- 데이터 중심 의사결정
- 소통과 협력
- 사업가치 창출, 고객중심 사고
- 애자일 프로세스와 같은 실무 경험
3. 서비스 기획자
사전적 의미로는 서비스가 가진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과정을 계획하는 자. 또는 어떤 일을 꾀하여 계획하는 사람이라고도 한다.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불편함 개선
- 시간과 돈 절약
- 재미(needs) 제공
- 차후, 비즈니스 모델, 사업 관점에서의 시각이 필요
- 사업 전략에 따라 불편을 주는 기획을 진행
- 서비스 종료 기획
- 광고
- 서비스 이용 시간제한
서비스 기획자의 역량
- 분석 및 문제 정의, 솔루션 도출 능력
- 데이터 중심 의사결정
- 소통과 협력
- 사업가치 창출, 고객중심 사고
- 애자일 프로세스와 같은 실무 경험
PM vs PO vs 서비스기획자
서비스기획자
- 서비스 기획이라는 업무의 한정
- 요건이나, 요구사항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대다수
- (요건을 받아서 → 기획 → 와이어 프레임 → 디자인/개발팀에 전달) ⇒ WaterFall 방식의 개발 문화를 가짐
PO
- 애자일 방법론에서 유래
- OwnerShip을 강조
- 고객 경험 최적화를 목표 → 의사결정 → 팀을 효율적으로 이끄는 것이 목표
PM
- 기획자와 달리 높은 의사결정을 가지고 있음
- 팀 조직을 이끌어가는 사람
나의 생각
- 각 직무는 세부적으로 들어간다면 차이점이 있을 것이다. 다만, 공통적으로 그들이 추구하는 것은 하나의 서비스, 제품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새로운 변화를 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 각 직무가 요구하는 역량은 공통적으로 소통과 협력이다. why) 혼자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팀(개발팀, 디자인팀, 마케팅팀, 등)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을 한다. 이 과정에서 중심 역할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들의 역량을 효율적으로 이끌고 시너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 서비스 기획자, PM, PO 직무를 나누는 것은 중요 하지만, 이와 별개로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과 목표가 무엇인지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출처
728x90
반응형
'교육 일기 > [SeSAC]유니콘 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IT 서비스 기획자 취업 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주차 토픽 클리핑(애자일) (0) | 2023.02.07 |
---|---|
6주차 토픽 클리핑(디자인씽킹) (0) | 2023.02.04 |
4주차 토픽 클리핑(UX/UI) (0) | 2023.01.16 |
3주차 토픽 클리핑(프로토타이핑 툴) (0) | 2023.01.12 |
2주차 토픽 클리핑(PMF & MVP)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