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셋/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1
22.12.26 ~ 22.12.31새싹 IT 서비스 기획자의 첫 번째 현직자 강의로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셋/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를 듣게 되었다. 교육의 전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됐다.서비스 기획
chocomochi-record.tistory.com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 스푼즈)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 셋/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1'의 다음 이야기다.
- 서비스 기획자 직무와 역할
-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셋
- 서비스 기획 업무 프로세스 1, 2, 3
- 서비스 기획 Level up
- 매출 & 마케팅 성과를 높이는 기획 노하우
- 기획자 커리어 Up을 위한 실무 Tip
서비스 기획 업무 프로세스 1
단계 |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 협업 담당자 |
1. 문제의 발견 | 마켓 리서치, 유저 인터뷰 | |
2. 요구사항 분석 | 이용자 또는 다른 팀에서 요청하는 기능의 요구사항 분석 | 운영팀, 마케팅팀, PM(프로젝트 매니저) |
3. 상위 기획 | 상위 기획안 작성 - 작업 범위, 서비스 정책, 기능 명세 등 | 개발 담당자, PM |
4. 상세 기획 | 화면 상세 기획안(Storyboard) 작성, 기획안 공유 회의 - 개발, 디자인 파트 | 개발 담당자, 디자인 담당자, PM |
5. 개발 중 커뮤니케이션 | 디자인 작업물 확인 후 수정 의견 전달 | 개발 담당자, 디자인 담당자 |
6. QA 테스트 | 개발 완료 후 기획안대로 개발되었는지 테스트 | QA(Quality Assurance) 담당자 |
7. 서비스 오픈 | 오픈 시나리오 작성, 운영팀 사전 공유 오픈 후 이상 유무 점검 | 운영팀, 마케팅팀, PM |
서비스 기획자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형태로 업무를 진행한다. 다행히 스타트업에서 6개월간 제품을 처음부터 오픈까지의 경험을 해본 적이 있어서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고 내가 했던 일들이 전부 저 프로세스처럼 진행했던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세스 표를 보면서 가장 생각이 많아진 것은 협업 담당자를 알려주는 부분이었다.
왜? 강사님은 협업 담당자를 알려주는 칸을 만들고 보여줬을까?
내가 생각한 답은 다음과 같다. 기획자는 혼자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서의 사람들과 협업을 통해 서비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그래서 소통과 협업이 중요한 것이고 이를 알려주고 싶어서 보여준 것이라 생각한다.
1. 서비스 기획은 현재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
서비스 기획은 현재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다.
As-ls > To-Be
현재에서 새롭게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럼 어떻게 기획자는 '문제'를 발견할까?
1. 직접 서비스를 이용해 보면서 불편 사항 찾기(기본)
- 서비스 초창기 유저일 때 시도를 해야 한다
- 서비스를 이용할수록 그 UX/UI에 적응이 되어서 인지를 못한다
2. 마켓 리서치
- 타사 벤치마킹
- 장, 단점 파악
- 유사 기능 파악
3. 이용자의 목소리 듣기 User Voice
- 고객 문의에 접수되었던 내용 살펴보기 ▷ 서비스 불만, 개선사항 등 히스토리
- 네이버, 구글 등 포털에서 검색하여 이용자 반응 살피기, 모바일 앱이라면 App Store에 등록되어 있는 앱 리뷰 살펴보기
- 내부 직원 인터뷰 ▷ 평소 서비스를 쓰면서 느낀 개선사항
- 이용자 대상 설문 조사 ▷ 설문 메일, 서비스 내 설문 페이지
- 유저 인터뷰
마켓 리서치
- 신규 서비스 기획 시 마켓 리서치
- 외부 환경(마켓 사이즈와 경쟁사)
- 내부 환경(리소스, 강/약점) 등 다각적 분석
- 효율적인 벤치마킹 방안
- 특정 페이지 또는 기능으로 범위 한정
- 대중적이고 잘 알려진 서비스를 2~3개 선정하여 해당 기능 경험
- 타사 서비스와 비교하여 자사 서비스가 불편한 사항(문제) 발견
유저 인터뷰
- 인터뷰를 통해 서비스에 대해 생생하고 깊이 있는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장점
- 특히 왜 그렇게 행동하고 생각했는지 이유까지 물어볼 수 있음
- 준비 및 섭외, 진행까지 리소스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어 실무에는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진행
- 대면 인터뷰: 긍정적인 의견으로 치우칠 수 있어 인터뷰어가 솔직한 답변을 이끌도록 유도
- 그룹 인터뷰: 참가자의 긴장감이 덜함, 특정인의 의견에 휩쓸리지 않도록 진행 시 주의 필요
- 1:1 인터뷰: 참가자가 부담을 느낄 수 있음, 보다 개인적인 의견 청취 가능
- 소수 참가자의 의견이므로 참고하되 의사 결정에 신중할 필요가 있음
- 인터뷰 목적이 분명할수록 의미 있는 문제를 발견할 수 있음
서비스 기획자의 본질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지만, 문제를 어디서 찾고 어떻게 찾아서 그것이 어떤 문제인지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강의 중 '서비스 초창기 유저일 때 서비스의 불편한 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강사님의 말이 인상 깊다. 실제 우리는 한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면, 그 서비스에 대한 적응도가 올라가서 처음 불편했던 점에 대해 인지를 못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창기 유저일 때 미리 서비스의 불편한 점을 찾아서 개선안을 만들어 보는 것이 서비스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
2. 요구사항 분석서
요구사항 분석
-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1차 정제하는 과정
- 특히 왜 요청하는지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그 목적과 이유에 따라서 해결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구체적인 해결 방안까지 가입할 필요는 없음
- 추후 작업 진행이 확정되면 그때 방안 구체화
- 당장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라도 요구사항 분석서 형식으로 정리 후 구글 문서 등 사내 공유가 가능한 플랫폼에 모아둘 것
- 히스토리를 쌓아 두었다가 동일한 불만과 요구사항이 수차례 접수되면 작업 우선순위를 높여서 진행
실습을 통해, 요구사항 분석서를 작성해 봤다.
- 제목: 상품평에 사진이 첨부되도록 기능 개선 요청
- 요청 날짜: 2022.12.26
- 요청자: 마케팅팀 김샛별
- 목적(배경)
- 현재 상품 상세 하단에 위치한 상품평이 글로만 작성할 수 있음.
- 이 때문에, 구매자 입장에서 상품평이 큰 도움이 안 된다고 판단됨.
- 타 쇼핑몰(쿠팡)과 같이 상품평에 사진도 첨부할 수 있도록 개선 요청.
- 중요도: 중
- 기타: 다른 부서의 요청 원본 캡쳐본
요구사항 분석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왜 요청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서를 보는 대상은 다른 부서의 사람이기 때문에, 최대한 요구사항 분석서를 받아서 어려운 것이 없게 최대한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도 중요한 것을 배웠다.
출처
[새싹X러닝스푼즈] 유니콘 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IT 서비스 기획자 취업 캠프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https://sesac.seoul.kr/course/active/detail.do
'교육 일기 > [SeSAC]유니콘 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IT 서비스 기획자 취업 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셋/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4 (0) | 2023.02.12 |
---|---|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셋/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3 (0) | 2023.02.11 |
새싹 IT 서비스 기획자(러닝스푼즈) 서비스 기획자 커리어 마인드셋/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1 (2) | 2023.02.09 |
7주차 토픽 클리핑(애자일) (0) | 2023.02.07 |
6주차 토픽 클리핑(디자인씽킹) (0) | 2023.02.04 |